새소식

Dev record/Ubuntu

[Ubuntu] WSL: 윈도우에서 리눅스 우분투 사용하기

  • -
반응형

윈도우에서 예전에 Linux Ubuntu 18.04를 사용하기 위해서 VMWare와 같은 가상환경을 설치를 하고 거기에 우분투 이미지를 실행시켰던 경험이 있다. 

그랬을 경우 윈도우에서 가상환경 리소스를 정말 많이 잡아먹고 당시에는 GPU 사용도 불가능 하였다.(지금은 어느정도 가능한 상태라고는 들었음)

하지만 WSL(Window Subsystem for Linux)라는 것을 접하게 되었고 이를 이용하면 우분투를 가상환경 설치 없이 사용이 가능한 것을 알게 되었다.

WSL은 윈도우 상에서 우분투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리 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으로 가상머신 또는 듀얼 부팅 없이 대부분의 명령도구, 유틸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 가능하다.

 

WSL 세팅 방법

Window>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Linux용 Window 하위 시스템 활성화

위 경로를 따라가면 된다

우선 윈도우 찾기에 제어판을 입력하고 클릭한다.

컴퓨터 설정에 따라 제어판 항목은 다르게 보일 수 있음

제어판에 들어가면 프로그램 및 성능이 있다. 이를 클릭

그러면 프로그램 및 기능이 뜨는데 여기서 좌측 상단의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클릭한다.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창이 나오면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에 체크한다. 그 다음 확인을 클릭.

그러면 Windows 기능에서 여러 필요 파일들을 검색한 다음 자동으로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컴퓨터를 재부팅 한다. 왠만하면 다시시작을 클릭하고 재부팅하자.

설치가 완료되면 이제 우분투를 다운받는다. 가상환경처럼 이미지를 가져온다는 거랑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해도 될 듯 하다.

(가상환경 안써봤다면 패스)

이를 위해 윈도우 검색창에 Microsoft Store 또는 Store를 검색하고 MS Store로 들어간다.

들어가는데 좀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MS Store에 진입한 후 검색창에 ubnutu 18.04를 입력한다.

이후에 ROS Melodic 버전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18.04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버전들을 사용한다면 20.04 등을 검색해도 무관하다.

우측의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다운이 진행된다.

다운이 완료되면 열기를 클릭

새로운 터미널 창이 실행되면서 우분투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리눅스 사용자 이름을 입력한다.

사용자 이름 입력 후 비밀번호도 입력한다. 반드시 비밀번호를 기억해야한다.

나중에 까먹으면 골치아파진다.

나는 계정명을 eddy로 설정하였고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 검색창에 cmd 를 입력한다.

 

명령 프롬프트 창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wsl

 

 

 

다음과 같이 우분투 18.04 환경이 실행된다.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