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문제 상황 lsof: command not found 해결 방안 sudo apt-get install lsof
ERROR lsof: command not found문제 상황 lsof: command not found 해결 방안 sudo apt-get install lsof
2023.01.10 -
문제 상황 모델 학습을 시도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 코드가 발생했다. RuntimeError: CUDA out of memory. Tried to allocate 374.00 MiB (GPU 0; 10.91 GiB total capacity; 5.96 GiB already allocated; 232.94 MiB free; 6.00 GiB reserved in total by PyTorch) 해결 방안 nvidia-smi로 GPU 메모리 점유 상황을 확인해봤다. 앞서 돌렸던 모델이 GPU 메모리를 여전히 점유하고 있어서 발생한 문제 상황이었다. 해당 프로세서를 PID를 보고 정리한다. sudo kill -9 ex) sudo kill -9 26200 예를 들어 위 프로세서들 중 PID 26200이 GPU ..
[Ubnutu] RuntimeError: CUDA out of memory. Tried to allocate 374.00 MiB (GPU 0; 10.91 GiB total capacity; 5.96 GiB already allocated; 232.94 MiB free; 6.00 GiB reserved in total by PyTorch)문제 상황 모델 학습을 시도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 코드가 발생했다. RuntimeError: CUDA out of memory. Tried to allocate 374.00 MiB (GPU 0; 10.91 GiB total capacity; 5.96 GiB already allocated; 232.94 MiB free; 6.00 GiB reserved in total by PyTorch) 해결 방안 nvidia-smi로 GPU 메모리 점유 상황을 확인해봤다. 앞서 돌렸던 모델이 GPU 메모리를 여전히 점유하고 있어서 발생한 문제 상황이었다. 해당 프로세서를 PID를 보고 정리한다. sudo kill -9 ex) sudo kill -9 26200 예를 들어 위 프로세서들 중 PID 26200이 GPU ..
2023.01.10 -
문제 상황 다음과 같은 오류 코드가 발생한다.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skbuild’ 해결 방안 이는 scikit-build가 없어서 발생한다. pip으로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pip install scikit-build pip install cmake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skbuild’문제 상황 다음과 같은 오류 코드가 발생한다.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skbuild’ 해결 방안 이는 scikit-build가 없어서 발생한다. pip으로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pip install scikit-build pip install cmake
2023.01.10 -
sudo apt-get install htop 문제 상황 GPU와 CPU에서 메모리가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필요했다. 해결 방안 간단하게 2가지만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1. watch nvidia-smi GPU 사용량 확인은 기본적으로 nvidia-smi 로 확인하는데 watch 명령어로 반복적으로 화면을 업데이트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n 옵션으로 refresh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2. htop nvidia-smi는 GPU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면 htop은 CPU와 램 사용랴을 확인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디서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PID를 알 수 있어 확인 후 바로 kill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설치 방..
[Ubuntu] 우분투 메모리 사용량 실시간 확인 방법sudo apt-get install htop 문제 상황 GPU와 CPU에서 메모리가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필요했다. 해결 방안 간단하게 2가지만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1. watch nvidia-smi GPU 사용량 확인은 기본적으로 nvidia-smi 로 확인하는데 watch 명령어로 반복적으로 화면을 업데이트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n 옵션으로 refresh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2. htop nvidia-smi는 GPU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면 htop은 CPU와 램 사용랴을 확인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디서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PID를 알 수 있어 확인 후 바로 kill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설치 방..
2023.01.10 -
문제 상황 python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오류 코드가 발생하였다. TypeError: concatenate() got an unexpected keyword argument 'dtype’ 해결 방안 이는 numpy version 1.20 이후에서만 dtype이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간단하게 numpy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준다. pip install numpy==1.20.2
TypeError: concatenate() got an unexpected keyword argument 'dtype’문제 상황 python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오류 코드가 발생하였다. TypeError: concatenate() got an unexpected keyword argument 'dtype’ 해결 방안 이는 numpy version 1.20 이후에서만 dtype이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간단하게 numpy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준다. pip install numpy==1.20.2
2023.01.10 -
문제 상황 Anydesk, 크롬 원격 데스크톱 등 원격 제어를 하다 보면 종종 발생하는 현상이다. 우분투의 dock(프로그램 바로가기 버튼)이 사라지기도 하고 원래 실행하고 있던 프로그램들이 어디로 갔는지 확인이 안된다. 해결 방안 예전에는 우분투 Gnome shell 재실행을 몰라서 지우다가 dependency 꼬이면서 결국은 우분투 재설치라는 쓴 맛을 많이 본 경험이 있었다. 하지만 Gnome shell을 재실행 하면 바로 해결된다. 간단하게 Alt + F2를 누른뒤 여기에서 r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dock이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ubuntu 프로그램 아무것도 안보일 경우 dock reboot 우분투 독 재실행문제 상황 Anydesk, 크롬 원격 데스크톱 등 원격 제어를 하다 보면 종종 발생하는 현상이다. 우분투의 dock(프로그램 바로가기 버튼)이 사라지기도 하고 원래 실행하고 있던 프로그램들이 어디로 갔는지 확인이 안된다. 해결 방안 예전에는 우분투 Gnome shell 재실행을 몰라서 지우다가 dependency 꼬이면서 결국은 우분투 재설치라는 쓴 맛을 많이 본 경험이 있었다. 하지만 Gnome shell을 재실행 하면 바로 해결된다. 간단하게 Alt + F2를 누른뒤 여기에서 r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dock이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2023.01.10